반응형 전체 글47 에드센스 승인 성공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며, 에드센스 광고를 시도해 봤습니다. 여러 글들을 보면 오래전 시작하신 분들은 여러 가지 복잡한 부분들도 많았고, 정말 힘들었을 것 같네요. 아무튼 이런저런 내용을 정리 하며, 되든 안되든 에드센스를 시도해 봤습니다. 처음엔 블로그 작성하는것도 서툴고, 익숙하지 않아서 여러가지 배운 것들이 많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이라는것도 처음 알았고, 에드센스 가입이 생각보다 어렵다는 글도 많이 봤습니다. 처음 시도해보는 것이라 물어볼 분도 없고, 그냥 되든말든 해보자는 마음으로 하다 보니 오늘 에드센스 승인이 되었네요. 아래와 같이 계정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뭐 돈을 벌겠다는 생각보다는 , 간단한 내용을 정리 해놓자는 마음으로 시작한 것이기 때문에 거의 혼자 보는 블로그이지만, 에드센스 연동,.. 2022. 12. 3. BAUD 오실로스코프 측정 설정한 통신 설정 및 테스트 시 설정한 BAUD가 정확하게 나오는지 1번 정도는 확인을 해보면 좋습니다. 당연히 나오겠지 하는 생각에 넘어가면 나중에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실제 내가 보내주는 신호는 말도안되는 형태로 나가는데 , 받아주는 쪽의 처리가 유연하게 되어있어 잘 동작하는것 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경우 단기간에는 문제가 없지만, 나중에 큰문제가 되어 뒤통수를 치는 경우가 생길수 있습니다. 타 장비와의 호환성이나, 장기간 사용시 문제가 생길수 있기 때문에 1번정도는 확인이 필요합니다. 1. 9600 BAUD 를 오실로 스코프로 확인 하기 파형의 1사이클을 오실로 스코프로 클럭 간격을 측정해보면, 대략 104~5us 근처가 나옵니다. (1/104 ) * 1000000 = 9600 BAU.. 2022. 11. 28. YU12, NV12 format 구조(YUV420) 카메라와 같은 영상을 이용 시 영상 YU12 ,NV21, format 과 관련된 용어를 접하게 되는데 용어를 공부합니다. 영상의 포멧에 대한 이야기가 코드에서 나오면, 무슨 차이가 있는지 난감할 때가 많은데, 기록을 해두면서 차차 확인 하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YUV 420 format 에 대한 내용입니다. 1. YU12 : I420,YUV420P yyyyyyyy yyyyyyyy yyyyyyyy yyyyyyyy yyyyyyyy yyyyyyyy yyyyyyyy yyyyyyyy (w*h) uuuuuuuu uuuuuuuu (w*h/4) vvvvvvvv vvvvvvvv (w*h/4) 가장 일반적인 포맷이라고 합니다. Y데이터가 먼저나오고, U , V 가 나와 1 프레임이 됩니다. 이미지 프레임의 사이즈는 YU .. 2022. 11. 18. Tina Linux SSH server 설정 (2) 보드에서 ssh 접속은 되었지만, 여러가지 문제중 MobaXterm에서 파일 업로드,다운로드를 이용하기 위해 파일 전송 기능이 되어야 합니다. 파일을 이동시켜보면 아무반응이 없었는데, 그 이유느 scp 파일이 빌드는 되지만, 인스톨이 되지 안았습니다. SDK 패키지의 구성상 ssh-client 를 활성화 시켜야 해당 파일이 인스톨 되게 되어 있었습니다. 저는 ssh-server 만 설치를 했기 때문에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보드에서 패키지 선택을 다시 해주는 방법도 있지만 scp 파일만 추가하면 될듯한 느낌에 일단 현재까지 해놓은 구성을 손대지 않고, scp 파일만 복사 되도록 패키지 파일을 수정 해서 새로 빌드 후 이미지를 생성 했습니다. 보드의 rootfs에 /usr/bin/ 폴더에 scp.. 2022. 11. 15. Tina Linux SSH server 설정 (1) Tina Linux SDK를 이용하는 테스트 보드를 시작하며 ssh 연결이 안 되어있어 매우 불편했습니다. MobaXterm 등을 이용할수도 없어서 연결을 시도해보고 기록해 봅니다. 처음 ssh 관련 패키지가 설치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설치를 시작합니다. 1. tina package 를 추가하기 위해 menuconfig를 실행해 추가합니다. $ make menuconfig 메뉴에서 아래 ssh 항목을 ON 합니다. > Network > SSH ─── openssh-client............................................ OpenSSH client │ │ openssh-client-utils............................ OpenSSH client uti.. 2022. 11. 11. MobaXterm 터미널 log 저장 하기 MobaXterm에서 터미널 창의 로그를 txt 파일로 저장하려고 합니다. 최근에 소개받은 MobaXterm 을 이용하는데. 참 편리한 프로그램인 듯합니다. 테스트를 하다보면, 로그 및 소스 비교 등을 위해 화면의 로그를 저장할 때가 있습니다. 기존 쓰던 프로그램도 로그 저장 기능이 참 좋아서 계속 이용 했었는데, MobaXterm 을이용하려니 사용법이 익숙하지 않습니다. 저는 시리얼 포트를 연결한 터미널 창을 로그로 저장해보려 합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터미널 탭을 누르고 Save terminal Text를 누르면 됩니다. 단 기본설정이 Rich Text로 되어있더군요... 이것을 Plain Text로 저장하시면 깔끔하게 저장됩니다. Rich Text 형식은 숨겨진/보이지 않는 모든 text 가 출.. 2022. 11. 4. 이전 1 2 3 4 5 6 ··· 8 다음